안녕하세요. 공부를 좋아하는 습관을 만들어 주는 아이스크림 홈런입니다.
그럼, 지금부터 아이스크림 홈런과 함께 4학년 2학기 사회 촌락과 도시의 생활 모습에 대해 학습 내용을 알려드리겠습니다.
1. 촌락과 도시의 특징을 알아보아요.
1) 각 사진 속 지역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예) ① 넓은 들에 논이 펼쳐져 있다. ② 바다가 있다. ③ 높은 산이 있다. ④ 높은 빌딩과 아파트가 있다.
2) 각 사진 속 지역의 사람들은 주로 어떤 일을 하며 살아갈까요? 예) ① 논에서 농사를 지을 것이다. ② 바다에서 고기를 잡을 것이다. ③ 산에서 버섯이나 약초를 기를 것이다. ④ 회사에서 일을 할 것이다.
2. 촌락과 도시를 살펴볼까요.
1) 촌락과 도시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① 촌락: 들이나 산, 바다와 같은 자연환경을 주로 이용하며 살아가는 곳 ② 도시: 많은 사람이 모여 살며 사회, 정치,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
2) 촌락과 도시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은 무엇일까요?
3) 사진의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는 곳을 그림에서 찾아 각각 기호를 표시해 봅시다. -꼭 기억해요! (1) 사람들이 들이나 산, 바다와 같은 자연환경을 주로 이용하며 살아가는 곳을 ( 촌락 )이라고 합니다. (2) 논과 밭, 항구, 목장, 저수지, 다리, 스키장 등과 같이 사람들이 자연환경을 이용해 만든 것을 ( 인문환경 )이라고 합니다.
3. 촌락의 종류와 특징을 알아볼까요?
(1) 촌락의 종류 ① 지역의 자연환경과 사람들이 주로 하는 일에 따라 촌락의 종류를 나눌 수 있음. ② 촌락에는 농촌, 어촌, 산지촌이 있음.
(2) 농촌의 특징과 생활 모습 ① 농촌: 사람들이 주로 농업을 하며 평평한 곳에 자리 잡은 촌락 ② 인문환경: 농기계 수리소, 농산물 저장고, 축사, 비닐하우스 등 ③ 하는 일 • 논과 밭에서 곡식이나 채소를 기르는 농업을 주로 함. • 소, 돼지, 닭 등 가축을 기름. • 지역 특산품을 활용해 농촌 체험 활동이나 축제를 꾸림.
(3) 어촌의 특징과 생활 모습 ① 어촌: 사람들이 주로 어업을 하며 바닷가에 자리 잡은 촌락 ② 인문환경: 냉동 창고, 수산물 직판장, 부두, 등대, 양식장 등 ③ 하는 일 • 바다에서 물고기를 잡거나 김과 미역 등을 양식하는 어업을 주로 함. • 어촌의 특색을 살려 체험 행사를 열거나 축제를 개최함.
4. 도시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1) 도시의 의미 사람들이 밀집해 있고 사회, 정치, 경제활동의 중심이 되는 곳
2) 도시의 특징 ① 모습 • 사람이 많고, 높은 건물이 많음. • 대형 병원, 백화점, 도서관 등 여러 시설이 있음. • 공공 기관이 모여 있음. • 버스, 지하철 등이 잘 갖춰져 있어 교통이 편리함.
② 하는 일 • 주로 회사나 공장에서 일함. • 대형 할인점, 문화 시설 등에서 사람들의 생활을 편리하게 해 주는 일을 함.
5. 촌락과 도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알아볼까요?
1) 촌락과 도시의 비교 기준 ① 사람들이 사는 집의 모습 ②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모습 ③ 사람들이 주로 하는 일
2) 촌락과 도시의 공통점 ① 평평한 곳에 마을이 발달함. ② 사람들이 마을을 이루어 살고 있음. ③ 자연환경과 더불어 살고 있음.
3) 촌락과 도시의 차이점
6. 촌락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알아볼까요?
1) 촌락의 문제점과 원인 2) 촌락 문제의 해결 방안 ① 다양한 기계를 이용해 부족한 일손을 보완함. ② 인구를 늘리기 위해 귀촌을 지원함. ③ ‘100원 택시‘, ‘소형 버스‘ 등과 같은 정책을 펼쳐 교통 불편을 줄여줌. ④ 폐교나 마을 회관을 정비해 필요한 시설로 만듦. ⑤ 품질 좋은 농수산물을 생산하거나 축제를 활용해 소득을 높임. ⑥ 다양하고 특색 있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지역을 발전시키고 홍보함.
-촌락에 사는 사람이 줄어들면서 ( 일손 ) 부족 문제가 생겼습니다. -촌락에서는 축제를 활용해 지역 농수산물의 우수성을 홍보하여 주민들의 ( 소득 )을 높이려 노력합니다.
7. 빈칸에 들어갈 알맞은 말을 쓰고, 그림과 관련 있는 도시 문제를 친구들과 이야기해 봅시다.
1) 우리가 실천할 수 있는 도시 문제 해결 방안을 쓰고, 친구들과 이야기해 봅시다. • 아파트나 공동 주택 실내에서는 뛰지 않고 조용히 걸어서 층간 소음 문제를 해결한다. • 가까운 거리는 대중교통을 이용해 이동한다. • 환경 오염을 줄이기 위해 분리배출을 실천한다. • 물이 오염되는 것을 막기 위해 세제 사용을 줄인다.
지금까지 4학년 2학기 사회 1단원 촌락과 도시의 생활 모습를 공부해 보았습니다. 촌락과 도시의 특징을 비교해보며 어떤 일을 하며 생활하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보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