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요 0
초등

방학은 쉼일까, 도약일까?

방학 때만큼은 좀 쉬게 하고 싶어요.”
그래도 학년 올라가기 전에 준비는 해야 하지 않을까요?


방학을 앞두고 학부모들이 가장 자주 하는 고민입니다.
쉬게만 해도 불안하고, 억지로 공부시키자니 마음이 불편하죠.
하지만 중요한 얼마나 공부하느냐보다, 어떻게 공부하느냐입니다.


 

방학이 끝나고 나면 아이에게 생기는 변화 3가지
 

1) 기상 시간이 늦어지고 생활 리듬이 무너진다

2) 책상에 앉는 시간이 줄어들고 집중력이 떨어진다

3) 공부를 피하는 태도가 익숙해진다


이런 작은 변화들이 쌓이면, 2학기 적응력과 성취감에 큰 차이를 만듭니다
학년별로 다른방학 공부전략이 필요합니다.






1. 초저학년 : 리듬을 잃지 않는 먼저
 

초 1~2는 학습보다는 생활 루틴이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방학이 되면 아침 기상 시간부터 책상 앞에 앉는 습관까지 무너지기 쉽습니다.

 

  • 하루 1시간, 학습 리듬 지키기
  • 받아쓰기, 동화읽기, 연산게임 흥미 중심 콘텐츠 활용
  • 하루 공부를 끝내면성취감 느끼게 도와주세요!

혼자서도 공부하는 습관이 형성되면, 학년이 올라가도 흔들리지 않습니다.



특별학습 > 국어쓰기 > 받아쓰기 연습




리틀수학 > 생각수학




개념쑥쑥 > 놀이연산





2. 초고학년 : 학습 체력 점검과 다음 학기 예열
 

초 3~6은방학=추월 기회 있는 시기입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교과 난이도와 자기주도 능력의 차이가 점점 벌어지기 때문입니다.

 

  • 지난 학기 오답 정리와 개념 복습
  • 다음 학기 예습은 부담 없이, 핵심 개념만
  • 매일 공부할 시간을 스스로 정해보게 하세요.


AI 리포트, 오답노트, 진단 테스트를 활용해
본인 수준에 맞는 콘텐츠를 고르면, 학원보다 효과적일 있습니다.



수학완성 > 유형히어로즈



수학완성 > 쪽집게 문제




영어완성 > 홈런타임즈



 

방학동안의 준비가 없으면 2학기 시작이 힘들어집니다.
 

  • 2학기에는 학습량이 늘고 과목이 어려워집니다.
  • 특히 고학년은 수학·과학·독해력 중심으로 격차가 커지기 쉬운 시기입니다.
  • 방학 루틴이 없다면, 개학  2~3주는 다시 적응하는 소모될 있습니다. 



방학은 아이에게공부는 누가 시켜서 하는 아니라, 내가 있는 이라는 자율감을 심어주는 가장 좋은 시기입니다.
이번 방학, 하루 1~2시간만으로도 아이의 공부 인생이 달라질 있습니다




 

목록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