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 찾는 학습 서비스,
홈런 중등팀이 고민한 것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12월 3주 교육뉴스 브리핑]
초등학생 희망직업 ‘운동선수’ 1위.... 중고생은 ‘교사’
초등학생 희망직업 1위는 운동선수로 나타났다. 중·고등학생 희망직업은 교사가 1위를 차지했다. 고등학생들의 10명 중 3명은 중소기업 취업에 관심을 보였고 학생들은 더 좋은 직장으로 가기 위한 발판 차원으로 중소기업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은 이 같은 결과를 담은 ‘2019년 초·중등 진로교육 현황조사’를 지난 10일 발표했다. 현황조사는 지난 6월 18일부터 7월 26일까지 온라인을 통해 초·중·고 1,200교의 학생, 학부모, 교원 등 총 4만 4,078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 결과, 초등학생들은 지난해에 이어 운동선수를 희망직업 1위(11.6%)로 꼽았다. 교사가 6.9%로 뒤를 이었고 ‘유튜버’로 대표되는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초등학생들도 5.7%를 차지해 의사(5.6%)보다 다소 많았다. 이어 조리사(요리사)가 4.1%로 5위를 차지했다.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교사를 가장 희망하는 직업으로 꼽았다. 교사는 교육부와 직능원이 진로교육 현황조사를 처음 실시한 2007년부터 올해까지 중·고생 희망직업 부동의 1위다.
중학생은 10.9%가 교사를 희망직업으로 꼽았고 이어 Δ의사(4.9%) Δ경찰관(4.9%) Δ운동선수(4.3%) Δ뷰티디자이너(3.2%) 순으로 조사됐다. 고등학생의 경우 교사(7.4%)에 이어 Δ경찰관(3.8%) Δ간호사(3.7%) Δ컴퓨터공학자·소프트웨어개발자(3.6%) Δ군인(2.9%)이 5위권을 차지했다.
교육부, 내년 예산 74조 9,163억 원... 누리과정 지원금 인상
교육부가 내년부터 고 2·3학년으로 확대되는 고교 무상교육 시행을 위해 6,594억 원을 투입한다. 유치원·어린이집에 다니는 만3~5세 유아를 위한 누리과정 지원금도 기존 22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7년 만에 인상됐다.
교육부는 지난 10일 국회 의결을 거쳐 지난해 본예산 74조 9,163억 원보다 2조 4,708억 원(3.3%) 늘어난 77조 3,871억 원으로 확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우선 내년부터 약 88만 명가량의 고교 2·3학년에 적용되는 고교 무상교육 시행을 위해 6,594억 원이 투입된다. 고교 무상교육은 올해 2학기 고3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확대돼 내년에는 고 2·3학년이, 2021년에는 전 학년 126만 명이 혜택을 받게 된다. 올해는 각 교육청의 추경 예산을 통해 고교 무상교육의 재원이 마련됐지만 내년부터 2024년까지는 국가와 시도교육청이 매년 약 47.5%를, 지방자치단체는 5%를 부담한다.
또 지난 2013년 이후 동결됐던 누리과정 지원 단가를 7년 만에 처음 22만 원에서 24만 원으로 2만 원(9.1%) 인상한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비보육료 지원사업에 올해 3조 8,153억 원보다 2,163억 원 늘어난 4조 316억 원을 편성했다. 2020년 기준으로 유치원·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유아 120만 명이 혜택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하윤수 교총 회장, “文 정부 교육정책은 C학점”
국내 최대 교원단체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의 하윤수 회장은 임기 반환점을 지난 문재인 정부의 교육정책에 대해 “잘한 부분을 찾기 어렵다”면서 “성적을 준다면 C학점”이라고 혹평했다.
하 회장은 10일 서울 종로구 한 식당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문 정부도 이전 정부와 마찬가지로 재정을 무기로 대학을 옥죈다”면서 이같이 평가했다. 특히 그는 정부가 서울 소재 16개 대학에 정시모집 비중 상향을 사실상 강제하는 방안을 내놓은 점을 두고는 “대통령 말 한마디에 (입시정책의) 방향을 바꾸는 것은 아주 온당치 못하다”면서 “수시모집에 문제가 있다면 이를 수정해야지 (정시를 확대한 것은) 방향성을 잃은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교육부는 최근 학생부종합·논술전형 비중이 큰 서울 16개 대학에 대해 이 대학들이 2023학년도까지 정시 비중을 40% 이상으로 늘리도록 유도하겠다는 내용이 담긴 ‘대입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는 정시확대를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과 연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수시 비중이 지나치게 커 균형을 맞추는 조처라고 교육부는 설명했지만, 교육계 일각에서는 ‘조국 사태’로 학종을 비롯한 수시에 대한 불만과 불신이 커지자 이를 무마하려는 방안이라는 평가가 나왔다.
이유범 기자 leeyb@fnnews.com
<파이낸셜뉴스> 정책사회부 이유범 교육 담당 기자. 2007년 기자를 시작해 만 12년째를 기자를 업으로 삼고 있으며, 2018년부터 교육정책과 교육산업에 대한 기사를 작성 중. 아이스크림에듀 뉴스룸에서는 한 주간의 교육 이슈를 요약해 소개한다.
추천 콘텐츠